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학교공간조성

1. 학점제형 학교공간조성

목적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학점제형 학교공간 조성 및 운영

조성 및 활용 원리

사업관련조직구성계획(안, 예시)

고교학점제 학교공간의 ‘조성·활용’ 원리 개념도

학습공간의 유연성,지원공간의 복합성,공용공간의 활용성,동선의 효율화,공간-교육과정의 연계성순으로 정보제공
학습공간의 유연성 지원공간의 복합성 공용공간의 활용성 동선의 효율화 공간-교육과정의 연계성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수요에 맞춰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되므로, 학습공간은 다양한 교과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함. 수강인원 역시 바뀔 수 있으므로 크기가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는 학습공간을 조성해야 함. 도서실, 시청각실, 다목적실 등 기존의 지원공간은 고정된 용도로만 활용해 왔으나, 고교학점제 하에서 다양한 학생참여형 수업 및 그룹 활동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원공간을 복합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지원공간은 목적에 따라 유동적으로 다용도,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서는 공용공간의 활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홈베이스는 사물함이 위치한 장소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공강 중 휴식하거나 소그룹 활동 등을 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외의 공용공간인 유휴교실, 복도 등도 학교 상황에 맞게 활용성을 높여야 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들의 이동이 활발해지므로 학생 이동 동선을 고려하여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어야 함. 학점제 교육과정은 학생의 요구, 교사의 전문성, 단위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변화 등에 따라 편성·운영됨. 특히 학교 공간을 기획함에 있어서 단위학교의 학점제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필요한 공간을 도출하게 되므로 ‘공간-교육과정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조성 원리별 세부내용

5가지 원리,내용순으로 정보제공
5가지 원리 내용
원리-1학습 공간의 유연성
  • 학습 공간은 교실을 가리키며, 학습 공간의 유연성은 3가지로 구분
    • 공간 크기의 유연성: 폴딩도어 등을 활용하여 학생 수, 수업 형태에 따라 공간을 유연하게 조정
    • 사용 주체의 유연성: 기존 교과교실제와 명확히 구분되는 지점이며, 다양한 교과교사들이 다교과교실 및 공용교실을 유연하게 사용
    • 활용・이용의 유연성: 교사들은 차시별 수업 형태에 따라 그에 맞는 교실을 예약하여 활용할 수 있고, 학생은 공강 시간이나 점심시간, 방과 후 시간에 교실을 예약하여 자기주도 학습, 프로젝트 활동 등을 진행
원리-2지원 공간의 복합성
  • 지원 공간이란 학습을 지원하는 학교 공간, 즉 도서실, 교무실, 상담실, 회의실 등을 가리킴
  • 지원 공간은 지정된 용도로만 활용되는 경향이 있으나 다양한 수업과 활동, 휴식, 상담 등을 위해서 복합적으로 활용되어야 함
원리-3공용 공간의 활용성
  • 공용 공간이란 공용으로 활용하는 학교 공간, 즉 홈베이스, 복도, 로비 등을 가리킴
    • 홈베이스: 홈베이스는 학생의 휴식뿐만 아니라 수업, 상담, 모둠 활동, 자기주도 학습 등을 할 수 있도록 활용성을 높여야 함
    • 복도와 로비: 복도와 로비는 휴식, 사물함 보관, 전시 및 공연 공간 등 학교 상황에 맞게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원리-4동선의 효율화
  •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의 이동이 활발해지므로, 학생의 동선이 효율화 되어야 함
  • 동선의 효율화는 물리적 동선의 효율화와 교육과정적 동선의 효율화로 구분
    • 물리적 동선의 효율화: 물리적 공간 배치를 통한 이동 거리의 최소화. 학생의 이동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학습 공간, 지원 공간, 공용 공간 배치
    • 교육과정적 동선의 효율화: 교육과정을 통한 동선의 효율화. 예를 들어, 블록수업 운영을 통해 학생의 이동 횟수를 줄이고, 학생 시간표를 고려한 과목-교실 매칭을 통해 이동 동선을 줄일 수 있음
원리-5공간·교육과정의 연계성
  • 학교 공간은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야 함. 공간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다음의 3가지로 구분
    •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 공간의 연계성: 프로젝트 수업, 토의・토론 수업, 발표 수업, 온라인 수업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잘 구현할 수 있는 공간 조성
    • 학점제의 특징과 공간과의 연계성: 1학년 공통과목 중심 및 2, 3학년 선택과목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홈베이스가 조성되어야 하고, 진로・학업 설계 지도를 위한 상담 공간, 최소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위한 공간 조성
    • 단위학교의 특징과 공간의 연계성: 단위학교가 갖는 특징 즉,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교과특성화학교, 남녀 학생 구성, 교원 구성, 지역사회 자원 등 단위학교가 가진 사회적 특징을 공간 조성에 반영

출처: 2022~2023년도 고교학점제 학교공간조성 및 활용 안내서 (교육부)

2. 학점제형 학교공간조성 현황

구분(학점제형교과교실제운영교/학점제형학교공간기(旣) 조성교/학점제형교과교실제도입교/2023년도조성예정),학교명,학교수순으로 정보제공
구분 학교명 학교수
학점제형
교과교실제
운영교
학점제형
학교공간
기(旣) 조성교
강동고, 남목고, 대송고, 매곡고, 문현고, 성광여고, 약사고, 언양고, 온산고, 울산경의고, 천상고, 학성여고, 화봉고, 화암고, 우신고, 범서고, 남창고, 울산여고, 성신고, 학성고, 신정고, 울산중앙여고, 현대고, 울산강남고, 무거고, 울산중앙고, 신선여고 27교
학점제형
교과교실제
도입교
2023년도
조성예정
다운고, 달천고, 대현고, 무룡고, 문수고, 방어진고, 삼산고, 울산동천고, 울산제일고, 함월고, 효정고 11교

학점제형 교과교실제 도입교(=고교학점제 학교공간조성사업교)

‘학점제형 교과교실제’란?

교과별 교과교실을 다른 교과와 공용하거나 여러 교과가 사용하는 공용교실을 갖추고, 고교학점제의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적합하게 교과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

3. 2019~2023 고교학점제 학교공간조성사업교 현황 (예정교 포함)

조성년도: 2019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학성여자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2020~2022), 준비학교(2023~)
2 화암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2019~2021), 준비학교(2022~)

조성년도: 2020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범서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2 우신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조성년도: 2021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남창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0~)
2 성신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3 울산여자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조성년도: 2022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무거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2 신선여자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3 신정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2023~)
4 울산강남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5 울산중앙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6 울산중앙여자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7 학성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8 현대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1~)

조성년도: 2023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다운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2 달천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3 대현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4 무룡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5 문수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6 방어진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7 삼산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8 울산동천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9 울산제일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10 함월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11 효정고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조성(도입)년도: 2024학년도

연번,학교명,비고순으로 정보제공
연번 학교명 비고
1 문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2 울산과학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2~)
3 울산예술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
4 호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준비학교 (2023~)